HS CODE란? HS CODE 조회방법
HS CODE란?
국가 간 상품거래를 위해 상품을 종류별로 고유의 코드를 부여하여 분류한 것입니다.
기본적으로 6자리로 구성되어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뒤에 4자리를 추가하여 세분화 하고 있습니다, 이를 HSK코드라고 부릅니다
HS CODE 조회방법?
여러사이트에서 HS CODE를 조회하는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이번에는 FTA코리아 라는 사이트와
트레드링스라는 포워딩 지원 홈페이지를 통해서
조회해 보겠습니다
1. FTA 코리아
아래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내가 조회하려는 화물을 검색하거나 분류를 클릭하면 조회할 수 있습니다
FTAKorea Portal
fta.utradehub.or.kr
다음으로 다른 사이트인 트레드링크 HS CODE조회입니다. 편하신 방법에 맞게 조회하시면 되겠습니다
1. 트레드링스 HS CODE 조회 홈페이지 접속
https://www.tradlinx.com/hscode
HS code (HS코드) 조회
품목명을 통해 HS CODE (HS코드) 조회가 가능하며 수입화물의 관세율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www.tradlinx.com
2. 조회하려는 화물명 입력 후 조회
3. 화물을 조회하면 해당 조회에 맞게 다양한 품목에 강조표시가 됩니다. 이 표시는 수입신고 기준으로 약
60%이상 신고된 품목은 빨간색으로, 그리고 그 이하로 신고된 품목들은 연한 빨간색으로 표시됩니다.
해당 조회결과는 실제 수입신고를 기준으로 나타내기 때문에 조회하려는 화물과 맞지 않을수도 있습니다.
예를들어 코로나용 마스크의 HS CODE를 찾으려고 마스크를 조회하면 화장품이 가장 많이 신고된 것으로
표시되어 다르게 나오게 됩니다. 이는 찾으려는 화물과 다른 품목이므로 신고비율은 낮지만 화물과 일치하는
'방직용 섬유제품' 등을 선택해야 합니다
4. 세부품목 조회
조회 결과를 클릭하면 위 사진과 같은 세부코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5. 상세정보 조회
각 HS CODE에 해당하는 화물의 상세정보를 알고 싶으면 주황색으로 표시된 HSCODE를 클릭하면 됩니다
위에서 황산암모늄이라는 화물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세부사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오늘은 HSCODE 조회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