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i(Decentralized Finanve)란 한마디로 블록체인에 기반한 금융서비스입니다
인터넷 상에서 모든사람들이 이용할 수 있는 탈중앙화된 금융서비스로 기존 금융서비스와는 달리 블록체인 기술에 기반하고 있으며 탈중앙화된 환경에서 서비스를 지원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습니다
Defi와 전통금융의 비교
구분 | 전통금융 | Defi |
위험성 | 국가별 상이 회사에 따라 파산 할 시 국가가 보장해 주는 경우도 있음 |
오픈소스로 해킹의 위험이 있음 초기 개발단계의 시장으로 확인되지 않은 불확실성에 대한 리스크 있음 |
투명성 | 서비스회사간에 정보를 공유 오픈소스이지만 모든 사람들에게 공개되어있지는 않음 |
모든 사람들에게 거래내역이 공개 서비스코드가 오픈소스로 공개돼있음 |
자금송금 | 국내 한정 빠른 송금 해외 송금의 경우 절차가 복잡 |
국내외 상관없이 제약사항이 적고 빠름 |
이용자격 | 국가별 상이 닫혀있음 |
모두에게 열려있으며 국가 별 차별이 없음 |
자금사용내역 | 신용성있는 금융회사에 의탁 | 개인이 관리 및 조회 |
권한 | 금융회사 | 개인 |
Defi 연혁
최초의 디파이는 블록체인 기술에 기반한 비트코인입니다. 비트코인이 있음으로써 디지털 가상자산을 사람들이 소유할 수 있게 되었고 하나의 금융 자산으로서 송금 및 거래행위가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실제로 비트코인은 앞서 설명한 디파이의 특징 중 하나인 세계 어디에서나 융통할 수 있다는 점이 있습니다. 즉, 투명성이나 범용성 등이 디파이의 특징과 일맥상통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비트코인의 특징을 학습하고 기반하여 발전시킨 가상자산이 이더리움입니다. 이더리움은 비트코인과 비슷하지만 하나의 플랫폼으로 기능하면서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개발해나갈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습니다. 디파이의 시초가 비트코인이라면 이더리움의 탄생으로 인해서 디파이가 금융서비스로서 작용을 할 수 있게 된 촉진제가 되었습니다
결론적으로 비트코인의 탄생으로 가상자산의 취급이 가능해졌으며 이더리움으로 인해서 블록체인에 기반한 금융서비스의 탄생이 가능했던 것입니다. 이것이 디파이(Defi : Decentralized Finanve)의 탄생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디파이 서비스의 등장으로 코인을 예치하고 그 코인에 대한 이자를 배당받는 방식의 금융서비스가 발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신규시장이고 아직 정부 규제등의 정립등이 확실히 되지 않은 만큼 자신의 자산을 취급하는데 있어 주의를 취해야 할것입니다.
'블록체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WEB 3.0이란? 탈중앙화 서버? (0) | 2023.01.30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