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패킹리스트(Packing list)란?
패킹리스트는 수출자가 수출할 화물의 포장에대한 상세를 작성한 서류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각 화물의 포장방법이나 포장단위별 내용명세, 순중량, 총중량 용적 등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송장의 내용을 보완할 때 사용하는 보조서류의 한 종류이며
해당 서류에는 화물의 내용과 수량 등에대한 세부사항이 명시되어있어
신용장(LC)거래를 할 때 거의 필수적으로 요구하고 있습니다.
작성방법?
우선 packing list는 수출하려는 업체나 각 국가별 특성에 따라 정해진 양식이 있는것은 아닙니다.
명시되어야 하는 정보와 lc를 기반으로 은행에서 요구하는 정보가 담겨있어 bl을 발행하는데
필수적인 정보가 있으면 됩니다. 이번시간에는 아래의 양식을 기반으로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와같은 PL(packing list)양식이 있습니다. 작성방법은 각 비어있는 칸에 요구하는 정보를 작성해주시면 되는데요
위의 사진과같이 각 칸을 채워주시면 되며 구체적으론 아래와 같습니다
1. Shipper / Exporter
수출자의 정보를 기재하시면 됩니다. 주소와 연락처 그리고 담당자 이름이 필요합니다
신청하는 사람과 수출자는 꼭 일치해야 합니다
2. For Account & Risk of Messrs
수입자의 정보를 기재합니다. 주소와 연락처 그리고 담당자 이름이 필요합니다
3. Notify Party
통지처의 정포를 기재하는데 통상적으로 통지처는 수취인과 동일합니다.
추가로, 수취인과 결제업체 또는 해당사실을 통보해야하는 업체의 정보를 기재하시면 됩니다
4. Port of Lodading
통상적으로 POL이라고 많이 표현하고 말 그대로 로딩하는 항구 즉 출발 선적항을 기재하시면 됩니다
5. Final Destination
조건에 맞는 목적지를 기재해주시면 됩니다
6. Port of Discharge
도착하는 항구를 기재하시면 됩니다
7. Salling on / or ABout
on board date 즉 선박을 출발일을 기재하시면 됩니다
8. Invoice No & Date of invoice
인보이스의 발행일과 번호를 작성하시면 됩니다
9. L/C No , Date of L/C
L/C번호 및 발행일을 기재하시면 됩니다
10. L/C Issuing Bank
신용장을 개설하는 은행을 기재하시면 됩니다
11. Terms of Delivery And Payment
대금지급조건을 기재합니다
12. Remarks
비고란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기타 필요한 부분을 적어주시면 됩니다
13. Shipping Marks
적재되는 화물의 식별을 위해서 포장 외부에 붙이는 마크를 기재하시면 됩니다
14. Description of Good
수출할 화물과 해당 화물의 디테일에 대해 기재하시면 됩니다
15. Net Weight
수출할 화물의 순 중량을 기재하시면 됩니다
16. Gross Weight
수출 화물의 총 중량(포장포함)을 기재하시면 됩니다
이상으로 오늘은 패킹리스트(PL)의 작성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실제로 수출업무를 하거나 아니면 포워더 일을
하시게 될때 BL이나 L/C업무를 진행하기 위해 패킹리스트는 필수적으로 처리해야 하는 절차중에 하나인데요
도움이 조금은 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물류 무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스터비엘(Master BL)과 하우스비엘(House BL)의 차이점? (0) | 2023.03.01 |
---|---|
ON DOCK CY - OFF DOCK CY 차이점, 정의 (0) | 2023.02.20 |
HS CODE란? HS CODE 조회방법 (0) | 2023.02.20 |
인증수출자 뜻 및 조건(Approved Exporter) (0) | 2023.02.19 |
한국-중국 FTA원산지 증명서 작성방법 (0) | 2023.02.19 |
댓글